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절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여주시

    어린 단종이 유배가던 귀양길
    단종은 8세의 나이로 왕세손에 책봉되었고, 12세가 되던 1452년 5월에 왕위에 올랐다. 단종은 왕이 된지 1년 만에 숙부인 수양대군이 일으켰던 정란(靖亂) 때문에 아무런 힘도 권력도 행사할 수 없는 왕이 되었고 왕위를 빼앗기면서 ‘노산군’으로 강등된 후 강원도 영월로 유배되었다. 한양의 돈화문에서 출발하여 남한강 물길을 거슬러 배를 타고 5일 만에 영월의 입구에 다다랐으며,  육로를 따라 100리 길을 걸어 서강변에 있는 청령포에 도착했다. 육로를 따라 걸었던 강원도 영월지방에는 단종이 지났던 길이 많은 사연을 품고 있으며, 현대에 와서 통곡의 길, 충절의 길, 인륜의 길 등으로 재구성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영월군

    사육신과 함께 배향된 생육신 남효온
    창절서원에는 사육신과 생육신이 함께 배향되어 있다. 사육신이 죽음으로 단종에 대한 절의를 다했다면, 생육신은 살아서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특히 남효온은 폐위된 단종의 생모를 복위시켜야 한다는 상소를 올리고, 사육신을 소개하는 『육신전』을 저술하는 등 위험을 무릅쓰고 무너진 도의를 바로 세우고자 하였기에 생육신이 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영월군

    단종의 장릉 옆에 있던 사육신의 사당, 육신사
    창절서원은 단종복위를 꾀하다 죽임을 당한 사육신의 육신사를 모체로 하고 있다. 육신사는 원래 노산군의 묘역 옆에 있었다. 노산군이 단종으로 신위가 복원되고 묘역이 장릉으로 만들어지면서 육신사를 장릉 밖으로 옮기자는 주장이 있었지만 “임금과 신하는 일체이고 제사도 같다”라는 말에 따라 장릉 안에 계속 남아 있다가 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영월군

    중이 되어 산에 은둔한 천재 김시습
    사육신과 함께 창절서원에 배향된 매월당 김시습은 세종이 ‘신동’이라는 소문을 듣고 조정에 불러 재주를 시험하고, “재주를 감추고 잘 가르치라”라는 명을 내릴 정도로 당대 유명한 천재였다. 하지만 21세가 되던 해에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는 것을 보고 크게 낙담한 김시습은 책을 모두 불태우고 머리를 깎아 중이 되어 산으로 들어가 버린다. 이후 충청남도 부여의 무량사에서 생을 마칠 때까지 세상을 조롱하며 방랑자로 살아가다 생을 마감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장사를 준비하는 모든 과정, 치장
    장사(葬事)를 위한 준비를 포괄적으로 치장이라고 부른다. 장지를 마련하고, 상두꾼들이 관을 장지까지 운반하면 봉분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광(壙)을 만들고 함께 매장할 하장・명기 등을 준비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죽은 조상의 기물과 생활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조상이 내세에 편안한 삶을 살기를 바라는 자손들의 마음이 담겨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주인과 함께 묻는 고대 풍습, 순장
    장례방식의 하나로, 어떤 사람의 죽음에 이어서 다른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강제로 죽임을 당해 시신과 함께 묻히는 것을 순장이라고 한다. 고대사회에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풍습으로 신분이 있는 사회, 가부장적 사회에서 많이 나타났다. 시간이 흐르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면서 소멸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시신을 관에 모시는 입관
    죽은 사람의 시신을 관에 넣는 과정을 입관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시신을 칠성판 위에 놓고, 관은 내관과 외관을 사용했다. 관이 빈 공간에는 살아생전 입던 옷 등을 넣어 공간을 채운다. 과거 유교식 상례에서는 입관하기까지 초혼, 습, 소렴, 대렴 등의 절차를 거치느라 3일이 걸렸지만, 현재는 전문적인 시설이 생기면서 하루로 절차가 축소되었다. 이렇게 절차가 축소되면서 입관이 중요해져, 과거에는 안방에서 바로 하던 것을 요즘은 따로 공간을 마련하여 진행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충청도수군절도사영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충청도수군절도사영이 머물던 충청수영성
    천수만으로 들어가는 포구에 해발 40m 가량의 구릉에 연결되어 있으며 오천항 동쪽과 남쪽의 산 능선에 자리하고 있다. 길이는 약 1,650m로 평면은 삼태기 모양이다. 충청도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수영성(水營城)이다. 1396년(조선 태조 5) 수군첨절제사로, 1466년(세조 12) 수군절도사로 고쳤다. 수군에 소속된 전선은 본영, 속읍, 속현을 합하여 92척, 진선은 40척이었고 관원은 절도사, 우후 각 1인이다. 조선 1510년 (중종 5) 4월 동래 부산포·울산 염포·웅천 내이포에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둘레 3,174척의 석성을 쌓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절굿공이)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절굿공이)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절구통)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태안군

    태안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 사업 (절구통)
    태안의 전통 소금 생산방식인 자염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구축한 '디지털 융합 향토민속관'이다. 자염 관련 도구와 지역 주민의 기증 유물, 기타 향토사료 이미지와 영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본 영상에서는 유물 기증자가 기증한 유물과 기증하게 된 배경을 이야기한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국

    달나라 옥토끼도 찧는 절구 방아
    곡물에 충격을 주어 발생되는 충격력과 마찰력에 의해 곡물의 껍질을 벗기거나, 겨를 제거하거나, 알곡을 부수는데 사용하는 연장이다. 절구는 방아찧을 곡물을 넣는 통(절구, 절구통)과 충격을 가하는 막대(절구공이)로 구성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신랑과 신부가 처음 얼굴을 보고 절을 올리는 교배례
    혼례 중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절을 주고받는 의식을 교배례라고 한다. 혼례 과정 중 처음으로 신랑과 신부가 얼굴을 보는 순간이다. 교배례는 신붓집에 마련되는 초례청에서 진행된다. 초례청에는 신랑과 신부 사이에 대례상이 차려지는데 올라가는 음식과 물품이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절은 두 차례에 걸쳐 신랑 먼저, 신부 다음 순서로 하는데, 절의 횟수도 지역마다 다르다. 교배례는 현대에 와서 예식장에서 신랑 신부 맞절로 바뀌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김포시

    임을 기다리다 죽은 기생이 묻힌 김포 애기봉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에 있는 애기봉(愛妓峰)은 평안감사와 기생 애기의 사랑에 얽힌 사연이 있는 지명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고 출전한 평안감사를 따라갔던 애기는, 도중에 평안감사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잡혀가자 쑥갓머리산에 올라가 임 가신 북녘 땅을 향해 임을 부르며 기다리다 결국 병이 들어 죽고 말았다. 마을 사람들은 애기의 유언대로 쑥갓머리 산 정상에 애기를 묻고, 그 봉우리를 애기봉이라고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거창군

    왜구를 피해 자결한 탐진 최 씨의 절개, 거창 절부리
    경남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에는 절부리라는 자연마을이 있다. 1380년, 왜구가 이 일대를 침략해 노략질을 일삼았다. 결혼한 지 다섯 달밖에 되지 않은 김순은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싸움터로 나가고 그의 아내 탐진 최 씨 혼자 집에 있었다. 왜구가 마을로 들어와 최 씨를 겁탈하려고 했다. 최 씨는 은장도로 왜구가 만진 젖가슴을 도려내고 자결을 했다. 훗날 나라에서 그녀의 절개를 기려 정려각을 지어주고 평소 빨래를 하던 빨랫돌에 비문을 새겨 세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진안군

    신념을 지킨 선비를 향한 나랏님의 약속, 금감록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에는 『금감록(金鑑錄)』이 소장되어 있다. 『금감록』은 고려가 멸망한 이후, 충신으로서 절개를 지킨 최양을 기리기 위하여 작성한 책이다. 최양은 두문동 72현의 한 명으로, 태조 이성계가 영의정 벼슬로 출사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은 인물이다. 훗날 최양의 충절을 기리고자 세종은 그의 후손이 벼슬에 나오는 경우 후대할 것을 약속하였다. 『금감록』은 세종의 약속을 영원토록 증명하기 위해 발간한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관혼상제 절차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혼례의 다른 말, 대례
    대례는 좁은 의미로는 초례청에서 진행되는 의례를 부르는 말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신붓집에서 진행되는 모든 혼례 의식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좁은 의미로는 교배례와 합근례를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전안례부터 신랑 · 신부의 첫날밤까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가마 등 혼례용품을 준비하는 혼사계
    혼례를 치르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혼례복부터 가마까지 다양한 물품이 필요한데, 이러한 것들은 자녀가 혼례를 치르고 나면 사용할 일이 없는 것들이다. 따라서 문중 혹은 마을 단위로 계를 모아서 용품을 구입하여 사용했고, 이 계를 ‘혼사계’라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명절음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우리 고유의 행사음식, 떡과 낙원동 떡골목
    떡은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명절이나 생일 등 특별한 날 만드는 음식이자, 간식으로 흔히 먹던 음식이다. 일제강점기 출판된 요리책에도 다양한 떡 요리법이 있다. 해방 이후 쌀이 부족해지면서 떡문화는 위축되었다. 그래도 명절이나 관혼상제에 떡이 있어야 했으므로 서울 등 도시에는 떡집이 생겼다. 떡과 관련된 유명한 서울거리는 종로구 낙원동의 떡골목이다. 과거에는 이 일대에는 모두 30여개의 떡집이 몰려 있어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지금은 10여개의 업소만이 남아있다. 이 10여개의 떡집들은 길게는 3대, 짧게는 30년 이상 운영해오고 있는 집이다. 낙원동에 떡집이 생긴 것은 한일합방 후 궁궐을 나온 궁중 나인들이 창덕궁과 가까운 이곳에 떡집을 차렸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완주군

    삼례도의 중심 삼례역
    삼례역은 조선시대에 전라도 일대의 역로를 관할하던 삼례도의 중심이 되는 역이었다. 고려시대에 전공주도(全公州道)에 속했던 삼례역은 조선시대에 삼례도에 속하게 되었다. 삼례역은 한양에서 경기도와 충청도를 지나 전라도에 들어설 때 제일 처음으로 만나는 역이었다. 삼례역 근처의 사천나루에서 배를 타고 서해안으로 나가 한양으로 갈 수 있었다고 한다. 삼례는 주변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잘 발달했던 관계로 농민군들의 1, 2차 집결 장소로 선택되면서 동학혁명의 진원지가 되었다. 지금은 전라선 철도에 삼례역이 있지만, 조선시대의 삼례역과는 위치가 다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