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벼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술래야~ 나 잡아봐라" 꼬리따기
    꼬리따기는 허리를 잡고 일렬로 늘어선 다음 대열의 꼬리를 잡는 놀이다. 술래 한 명이 꼬리를 잡기도 하고, 편을 나누어 서로 상대편 꼬리를 잡는 방법도 있다. 대열의 머리가 꼬리를 따기도 한다. 농경 지역에서 주로 즐기는 놀이라는 점을 들어 꼬리따기 놀이를 농경의례와 연관 짓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양양군

    양양 도화리에서 벼를 털면서 부르는 「마뎅이 소리」
    요즘은 기계로 탈곡하지만 예전에 기계가 없을 때는 벼 타작을 도리깨로 하였다. 강원도 영동지역에서 도리깨질을 할 때 “에헤루 마뎅이여”하는 소리를 하는데 이것이 「마뎅이소리」이다. 도리깨질은 여러 명의 농군들이 옆으로 돌며 마당에 놓인 곡물을 도리깨로 내리치는 일이다. 상도리깨가 메기는 소리로 여기저기 치라고 작업을 지시하면 다른 농군들(아랫도릿깨들)이 “에헤루 마뎅이여”하고 소리를 받으며 도리깨를 친다. 「마뎅이소리」는 공동 노동으로 일을 신명나게 하며 일의 능률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서천군

    충남 서천군 마서면에서 검불 날리며 부르는 나비소리
    충남 서천군에서는 「검불날리는소리」로 나비소리를 불렀다. 「검불날리는소리」는 벼를 털고 난 뒤 쭉정이나 마른 풀, 먼지 등 잡것들을 없애기 위해 타작을 마친 벼를 떠서 바람에 날릴 때 부르던 노래이다. 나비소리는 2마디짜리 전언가사에 “어여라 나비여허”와 같은 디딤가사를 붙여 선후창으로 부른다. 충남 지역에서는 서천군에서만 전승이 확인된 노래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벼베는소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벼를 벨 때 한 단씩 묶으면서 부르는 벼베는소리
    벼베는소리는 강원도 영동 지역에서 벼를 베면서 부르는 노래로 노동요에 속한다. 이 소리의 특징은 벼를 벤 후 단을 묶을 때 경쟁적으로 빨리 베어 단을 묶으면서 소리함으로써 노동의 어려움을 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노래의 재미있는 점은 벼를 베는 사람들이 서로 빨리 벼를 베려고 경쟁한다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인류의 주식, 벼
    벼는 논에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80-120cm까지 자라나며, 작은 이삭이 여러 개 모여 달린다. 작은이삭은 1개의 작은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세계 인구의 반 이상이 먹는 주요 식량자원으로 전 세계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열매는 식용하며, 볏짚은 가축 먹이로 이용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논과 벼
    우리나라의 벼는 중국 양자강유역에서 서해를 건너, 또는 요동반도를 거쳐 한반도 북부로 유입되었다. 가장 오래된 벼는 청동기시대 평양 남경유적, 여주 흔암리유적의 탄화미가 대표적이다. 현재 청동기시대 탄화미가 발견되는 곳이 40여 곳 이상이며, 대개 2,400~3,000년 전의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중기에 해당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물을 가둔 논에 농사를 짓는 논농사
    논농사는 물을 가두어 두고 벼·미나리·연근 등 물에서 살 수 있는 작물을 가꾸는 경지인 논에 짓는 농사로, 수전작(水田作)이라고도 한다. 논에서 재배하는 작물은 주로 벼이므로 논농사를 벼농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논은 바닥이 고르고 편평하며 둘레를 흙으로 둘러싸 두렁을 만들고, 논물을 조절하기 위해 물이 들어오는 곳과 물이 나가는 곳에 물꼬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벼를 논에서 키워야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물을 가둔 논에 농사를 짓는 논농사
    논농사는 물을 가두어 두고 벼·미나리·연근 등 물에서 살 수 있는 작물을 가꾸는 경지인 논에 짓는 농사로, 수전작(水田作)이라고도 한다. 논에서 재배하는 작물은 주로 벼이므로 논농사를 벼농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논은 바닥이 고르고 편평하며 둘레를 흙으로 둘러싸 두렁을 만들고, 논물을 조절하기 위해 물이 들어오는 곳과 물이 나가는 곳에 물꼬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벼베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누렇게 익어 고개 숙인 벼베기
    벼가 누렇게 익어 고개를 숙이면 더 이상 물을 대지 않고 논에 남아 있는 물도 빼서 논을 말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것은 벼의 낱알이 마지막까지 잘 여물고 또 일정 부분은 마르게 하기 위함이다. 가을이 되어 벼가 고개를 숙이면, 곧 벼를 벤다. 벼베기는 수확을 의미하는 것이며, 전통사회에서는 낫을 이용하여 벼룰 거뒀다. 현재는 콤바인으로 수확을 하며, 콤바인이 들어갈 수 없는 곳에서만 낫을 이용하여 수확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양산시

    낙동강옆 벼랑길 황산잔도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은 낙동강과 양산천이 만나는 곳이다. 이 곳에서 낙동강의 상류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면 ‘황산강 베랑길’을 만날 수 있다. 황산강 베랑길은 낙동강 변에 있던 가파른 절벽의 벼랑길을 의미하며, 황산잔도로 불리기도 한다. 잔도(棧道)는 가파른 벼랑길을 지나기 위해 나무를 선반처럼 내매어 만든 길이다. 황산잔도는 낙동강을 아래에 두고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있어 매우 위험천만한 길로 알려져 있으며, 한양으로 과거를 보기 위해 지나던 영남대로 가운데 가장 험준한 구간이었다. 황산잔도는 낙동강을 따라 경부선 철길과 자전거 도로가 잘 어울리면서 ‘황산강 베랑길’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낙동벼랑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밀양시

    낙동강 옆 벼랑길 작원잔도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에는 작원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작원잔도가 있다. 과거 한양에서 영남지방으로 향하던 구간에는 잔도라는 명칭이 붙은 곳이 몇 군데 있는데, 작원잔도는 그중 하나이다. 잔도는 험한 벼랑에 암반을 굴착하거나 돌을 쌓아 도로를 낸 것이다. 작원잔도는 지금의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의 하주막에서 밀양시 삼랑진의 까치원에 이르는 벼랑길을 가리킨다. 경부선 철도의 작원터널이 있는 낙동강 벼랑에서 작원잔도의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자연적인 지형조건을 이용해서 돌로 기둥을 만들고 그 위에 돌을 쌓아서 만든 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