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장례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장사를 준비하는 모든 과정, 치장
    장사(葬事)를 위한 준비를 포괄적으로 치장이라고 부른다. 장지를 마련하고, 상두꾼들이 관을 장지까지 운반하면 봉분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광(壙)을 만들고 함께 매장할 하장・명기 등을 준비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죽은 조상의 기물과 생활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조상이 내세에 편안한 삶을 살기를 바라는 자손들의 마음이 담겨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주인과 함께 묻는 고대 풍습, 순장
    장례방식의 하나로, 어떤 사람의 죽음에 이어서 다른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강제로 죽임을 당해 시신과 함께 묻히는 것을 순장이라고 한다. 고대사회에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풍습으로 신분이 있는 사회, 가부장적 사회에서 많이 나타났다. 시간이 흐르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면서 소멸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시신을 관에 모시는 입관
    죽은 사람의 시신을 관에 넣는 과정을 입관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시신을 칠성판 위에 놓고, 관은 내관과 외관을 사용했다. 관이 빈 공간에는 살아생전 입던 옷 등을 넣어 공간을 채운다. 과거 유교식 상례에서는 입관하기까지 초혼, 습, 소렴, 대렴 등의 절차를 거치느라 3일이 걸렸지만, 현재는 전문적인 시설이 생기면서 하루로 절차가 축소되었다. 이렇게 절차가 축소되면서 입관이 중요해져, 과거에는 안방에서 바로 하던 것을 요즘은 따로 공간을 마련하여 진행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소멸시키는 장례법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자연적으로 시신을 소멸시키는 풍장
    풍장은 비바람에 자연적으로 시신을 소멸시키는 장례법이다. 유골을 따로 수습하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복장제나 이중 장제와 구분된다. 언제부터 풍장을 행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전염병이나 어린아이가 죽었을 경우 행해졌으나 지금은 행하지 않는 장법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례식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전문적인 시설로 자리잡은 장례식장
    고려시대까지 장의사와 장례식장의 역할을 절에서 했다. 조선시대에 유교를 받아들이면서 장례는 집에서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5복 중의 하나가 고종명인데, 이는 집안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죽는 것을 뜻했다. 그러므로 밖에서 죽는 것은 객사라고 하여 인식이 부정적이었다. 사고로 죽은 시신의 안치 같은 특별한 상황에만 병원 영안실 부근에 천막을 치고 장례를 치뤘는데, 이것이 변화하여 병원 영안실이 장례식장이 되었다. 현재는 도시의 병원 부속 장례식장과 농촌의 독립건물을 가진 전문 장례식장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전통장례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시신을 관에 모시는 입관
    죽은 사람의 시신을 관에 넣는 과정을 입관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시신을 칠성판 위에 놓고, 관은 내관과 외관을 사용했다. 관이 빈 공간에는 살아생전 입던 옷 등을 넣어 공간을 채운다. 과거 유교식 상례에서는 입관하기까지 초혼, 습, 소렴, 대렴 등의 절차를 거치느라 3일이 걸렸지만, 현재는 전문적인 시설이 생기면서 하루로 절차가 축소되었다. 이렇게 절차가 축소되면서 입관이 중요해져, 과거에는 안방에서 바로 하던 것을 요즘은 따로 공간을 마련하여 진행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지역의 장례문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7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기 >화성시

    서로의 상여를 메어주던 경기 남부지역의 연반계
    연반계는 충청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상례조직이다. 계원들이 상을 당했을 때 도와준다. 경기도 지역에서는 남쪽지역, 즉 용인시, 화성시, 이천시, 광주시, 평택시, 안성시, 성남시 등에 많이 나타난다. 연반계가 결성된 시기는 대체적으로 해방 이후로 볼 수 있다.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리는 해방이후 반상관계가 무너지면서 연반계가 만들어졌다. 화성시 동탄면 장지리 연반계는 1979년에 결성되었는데 주로 상여를 메는 조를 짜서 운영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과천시

    3개리 70여명이 참여한 막계리 혼상부조계
    막계리의 혼상계에 대한 기록은 일제시기인 192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계 명칭은 신종계(愼終契)인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진 바 없다. 1965년쯤에 와서 마을에 혼상부조계가 있었다. 이 계는 막계1, 2, 3리 전체가 함께 하는 계였는데 계원은 70~80명 정도로 마을 전체 주민의 절반 정도가 참여하였다. 마을에서 사람이 죽으면 우선 혼상부조계에서 통문을 놓는다. 계원들은 통문을 받고 계금을 내며 계 타는 사람은 당일 낮 12시에 탁주 한 통, 국수 한 관을 가지고 와서 계원들을 대접하며, 백미 2가마, 마포(麻布) 150자, 광목 5통, 탁주 10통을 가져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경기 >수원시

    상갓집 다녀오기 전후에 하는 경기지역의 상문풀이
    상문은 잡귀(雜鬼)의 개념에 가까운 뜻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경기도 지역에서는 상갓집에 들렸다가 와서 탈이 나면 ‘상문이 끼었다’고 표현하며 이를 미연에 예방하고 또 상문을 풀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의례를 행한다. 예방방법으로는 게 다리 하나를 가슴팍 주머니에 넣어 조문을 가기도 하고, 조문 갔다 와서는 측간 위 이엉의 볏짚을 한 움큼 빼서 불에 태우거나 소금을 뿌리는 등 조치를 취했다. 만약 상문이 끼었다고 여기면 무당에 물어보아 방도를 대거나 만신을 불러다 상문풀이를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공원으로 변화하고 있는 공동묘지
    공동묘지는 말 그대로 여러 사람을 집단으로 묻은 공간을 말한다. 선사시대부터 마을 인근에 공동으로 사람을 묻는 장소가 있었지만, 제도적으로 공동묘지가 생긴 것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부터였다. 공동묘지는 점차 공원화되어 현재는 추모공원의 형태가 되었다. 이렇게 공원화가 진행되면서 묘지의 형태는 전통적인 원형 봉분 대신 사각형의 평분으로 변화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의 초분
    경상남도 창녕군 영사면 죽사리에서는 50년 전까지 초분과 같은 가매장 풍습이 있었다. 이를 치봉 혹은 우봉이라고 불렀다. 들에 집을 짓고 관을 놓는데 집안의 형편이 안 좋은 경우 삿자리로 관을 감싸서 보관했다. 또한, 옆에서 직접 사람이 생활하며 관리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부안군

    뼈를 찌며 굿을 하는 부안군 위도의 초분관행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는 초분을 하기 전에 뼈를 추려 집으로 가지고 와서 찌면서 굿을 하는 관행이 있었다. 이렇게 깨끗이 한 뼈를 묻을 때는 석단장, 땅토롱 등을 하였다. 또한 부안읍에는 세움초분이 발견되는데, 이는 초분에서 탈육된 뒤 매장할 형편이 되지 않을 때 자른 생목 위에 뼈를 올리고 장목 3개로 괸 다음, 이엉을 두른 형태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례물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이승과 저승을 잇는 운반도구 상여
    상여는 망자의 시신을 매장할 곳까지 운반하는 도구이다. 이곳은 이승과 저승의 모호한 경계에서 망자가 잠시 거처하는 곳이기도 하다. 상여는 신분이나 지역, 종교에 따라 형태가 다양했다. 왕과 사대부, 서인 등은 상여를 화려하게 장식하였는데 이때 상여를 장식한 나무 조각상을 ‘꼭두’라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저승길 동반자, 꼭두
    꼭두는 우리나라 전통 장례식 때 사용하는 상여를 장식하는 조각상으로 죽은 사람의 영혼이 가야 할 외로운 길을 함께 가는 길동무이다. 사람 모양 혹은 동물 모양으로 만들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꼭두는 주로 19세기에서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이며, 전라도 지방보다는 경상도 지방과 충청도 지방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례 설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구 >남구

    하회 유씨 묘지설화
    「하회 유씨 묘지설화」는 명당 주인으로 하여금 그 곳이 명당이 아닌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어 묫자리를 빼앗았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김씨 집안의 한 지관이 명당자리를 가리키며 내일 오시까지 물이 나오지 않으면 3대에 걸쳐 정승이 나온다고 한다. 이 말을 들은 김 씨 여인이 밤새도록 물을 길어다 붓는다. 그래서 김씨 문중에서는 묫자리를 포기한다. 김 씨 연인은 오빠에게 간청하여 시아버지를 그곳에 묻는다. 이후 김씨 문중은 쇠퇴하고, 유시 문중이 번성하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부안군

    계란이 우는 묫자리
    아주 가난한 집에 도사가 찾아와 아무 것도 먹지 않고 사흘을 묵었다. 도사가 계란을 하나 사달라고 하자, 집주인이 처음에는 곪은 계란을, 나중에는 싱싱한 계란을 사다준다. 도사가 계란을 이용하여 명당을 찾고 있음을 알게된 집주인은 도사를 몰래 따라갔다가 명당을 알게 된다. 명당을 발견한 도사가 열흘 동안 자기 집에 다녀오는 사이에 집주인은 자기 부모의 묘를 이장한다. 열흘 뒤 도사가 와서 묘의 방향이 잘못되었다며 바로 잡아주겠다고 하지만 거절한다. 그 후 집주인은 많은 자손을 두고 부자로 잘 살았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남 >창녕군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죽사리의 초분
    경상남도 창녕군 영사면 죽사리에서는 50년 전까지 초분과 같은 가매장 풍습이 있었다. 이를 치봉 혹은 우봉이라고 불렀다. 들에 집을 짓고 관을 놓는데 집안의 형편이 안 좋은 경우 삿자리로 관을 감싸서 보관했다. 또한, 옆에서 직접 사람이 생활하며 관리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남 >완도군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의 초분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에서는 초분을 초빈이라고 불렀다. 초빈이라고 부른 것은 초분을 빈소의 연장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청산도에서는 일반적으로 경작지 주변에 자리를 마련하며, 짐승들로부터의 피해를 막기 위해 울타리를 만들어 둔다. 보통 3년, 길게는 10년 후 수습하여 장지로 이장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부모님을 향한 효심이 담긴 삼년상
    상례를 치르며 상복을 입는 기간을 삼년상이라고 부른다. 실질적인 기간은 25개월 정도이며, 이 기간에는 묘소 옆에서 여막을 짓고 부모님의 신주를 모시고 소상과 대상을 지내고 탈상을 할 때까지 생활한다. 사람은 태어나서 3년이 지나야 부모의 품을 벗어날 수 있었으므로 부모가 돌아가셨을 때도 3년은 돌봐야 한다는 효 사상이 담겨있는 풍습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자연적으로 시신을 소멸시키는 풍장
    풍장은 비바람에 자연적으로 시신을 소멸시키는 장례법이다. 유골을 따로 수습하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복장제나 이중 장제와 구분된다. 언제부터 풍장을 행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전염병이나 어린아이가 죽었을 경우 행해졌으나 지금은 행하지 않는 장법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주인과 함께 묻는 고대 풍습, 순장
    장례방식의 하나로, 어떤 사람의 죽음에 이어서 다른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강제로 죽임을 당해 시신과 함께 묻히는 것을 순장이라고 한다. 고대사회에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풍습으로 신분이 있는 사회, 가부장적 사회에서 많이 나타났다. 시간이 흐르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면서 소멸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