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울릉도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울릉도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자연의 제약을 극복한 울릉도 나리동 너와 투막집과 억새 투막집
    투막집은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분지 내에 남아 있는 대표적인 서민가옥이다. 울릉도 개척령(1883년) 이후에 이주해온 정착민들이 지은 자연친화적인 가옥으로 지붕의 형태에 따라 너와 투막집과 억새 투막집으로 구분된다. 투막집은 ‘투방집’으로도 불리는데, 통나무를 우물 정자로 올려 쌓아 벽을 만들고 흙으로 그 틈을 매운 집을 말한다. 바람이 심하기에 억새로 지붕을 올린 후 각목을 얹어 고정해두고, 문은 발처럼 말아 올린 꺼치렁문을 달았다. 축담은 살림살이를 보관하거나 겨울철에 작업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정지바닥은 축담보다 낮게 하여 온기를 가두고, 방문은 크기를 최소화하여 추위의 접근을 차단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국빈만찬의 주인공, 독도새우
    부드러우면서도 탱글탱글한 식감에 달고 고소한 맛이 일품인 새우는 싫어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값비싸고 귀하게 여기는 새우는 울릉도와 독도 사이의 해저 산맥에서 잡힌다. 미국 대통령을 환영하는 자리에서 내오는 국빈만찬에도 당당히 한 자리를 차지했던 독도새우가 바로 그 주인공. 워낙 예민해서 잡고 운송하기가 까다로운 것으로 유명한 독도새우 3종을 소개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쌀이 귀했던 시절, 쌀보다 홍합이 많았던 홍합밥”
    험한 뱃길로 가야 함에도 울릉도는 누구나 한 번쯤은 가보고 싶어하는 여행지이다.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여 꼭 먹는 음식 중 하나인 홍합밥이다. 내륙에서 먹는 홍합과 달리 울릉도에서는 제대로 된 홍합 중에서도 암컷을 주로 사용한다. 짜지 않고 담백한 홍합과 함께 명이 장아찌, 산마늘, 부지깽이 짱이찌를 먹다보면 힘들게 온 길만큼 오래 머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청정해역인 울릉도를 대표하는 오징어
    우리나라의 최동단에 위치한 독도와 함께 늘 언급되는 울릉도를 대표하는 특산물에는 호박엿과 오징어가 있다. 그 중에서도 오징어는 도서 지역으로서 울릉도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어류이며, 한국인들이 가장 즐겨 찾는 어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타의 다양한 생산물이 있음에도 오징어가 울릉도를 상징하는 물산으로 자리매김을 한 결정적인 이유는 수심이 깊고 청정한 울릉도 해역에서 잡히는 오징어가 쫄깃하고 맛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바다, 섬 그리고 개척 정신이 만든 울릉도 특산품

    출처 :경상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경북 >울릉군

    바다, 섬 그리고 개척 정신이 만든 울릉도 특산품
    독도와 함께 동쪽 최전선을 지키는 울릉도. 울릉도의 다양한 먹거리와 특산물을 소개하는 영상이다. 익히 알려진 울릉도의 특산품인 호박을 활용한 공산품 외에도, 오징어먹물 초콜릿, 막걸리 초콜릿 등 새로운 제품들도 알아본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수탈의 역사와 근대의 궤적, 울릉 도동리 일본식 가옥
    19세기 이전부터 울릉도의 어업자원과 산림자원을 탐내던 일본은 1906년 울릉도에 자유 이주어촌을 형성했다. 울릉 도동리 일본식 가옥은 울릉도에서 고리대금업과 벌목업으로 부를 쌓은 사카모토 나이지로라는 인물이 1910년대에 지은 주택이다. 사무실과 접객 공간 겸 생활공간으로 지어진 집은 2층 목조 건물로서 전형적인 일본 상점 주택[마치야]으로 분류된다. 건축 기법은 현재 일본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일본 전통 방식과 수법을 보여준다. 울릉도 도동항이 내려다보이는 자리에 지어진 사카모토의 집은 해방 이후 한국인의 생활양식에 맞추어 변형되기는 했으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울릉 도동리 일본식 가옥은 현재 울릉 역사문화체험센터로 사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습기를 조절하는 목재 오동나무
    오동나무는 좋은 목재로 평가되어 다양한 생활기물에 애용되었다. 습기에 강해 뒤틀리지 않고, 불에도 강해 잘 타지 않으며, 방충효과도 뛰어나 조선시대에는 주로 귀중한 서류나 서화, 의복 등을 보관하는 가구재나 가야금과 거문고를 만드는 악기재로 사용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울릉도 가볼만한곳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독도박물관, 울릉도에 세워진 독도 수호대
    독도박물관은 광복 50주년을 맞이해 1997년에 울릉도에서 문을 연 박물관이다. 독도가 아니라 울릉도에 세워진 까닭은 울릉군이 박물관 자리를 제공하고, 삼성문화재단이 약 80억원을 들여 박물관 건물을 지은 후 울릉군에 기부하는 형태로 세워졌기 때문이다.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반박할 수 있도록 자료를 모아 정리하고, 우리의 입장을 국내외에 알릴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만드는 일에 힘쓰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울릉군

    파도가 물어다 놓은 갯바위에서 돌김 채취하는 울릉도 사람들
    경상북도 울진군과 울릉군 일대에서는 자연산 돌김이 난다. 돌김은 김속(porphyra)에 속하는 홍조류로 청정해역 해안가 바위에 자연 서식한다.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채취해 자연건조한다. 양식김과 구분하기 위해 자연산 김은 ‘돌김’이라 부른다. 울릉도 주민들은 1883년 이후 입도한 농민으로 초기에는 농업을 하며 전복, 소라, 문어, 미역, 김을 채취하며 생활했다. 점차 돌김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김을 채취하기 시작해 울릉도의 주요한 생업 수단이 되었다. 날씨가 추워지면 파도가 김을 바닷가 돌 위에 밀어 놓으므로, 김 채취가 용이하다. 함석으로 만든 긁개인 ‘깔개’와 대나무로 만든 바구니인 ‘초배기’만 있으면 맛과 영양이 좋은 김을 채취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