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통일신라시대 복식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통일신라시대 복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0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길어지고 화려해진 통일신라의 치마(裳)
    치마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전체에 걸쳐 입었던 흔적이 발견되는 의복으로 크게 상과 군으로 구분해서 입었다. 삼국시대 치마는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리는 정도였다. 또 허리부터 치마단까지 잔주름이 있었다. 그리고 치마단에는 장식연(緣)이 붙어 있으며 단에는 선(襈)이 있었다. 통일신라시대의 치마는 현대의 치마와 같이 위에만 주름이 잡혀 있다. 또한 속치마인 내상(內裳)를 껴입었다는 것은 복식금제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치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통일신라 시대의 바지, 고(袴)
    북방유목인이었던 우리 민족은 일찍이 바지를 착용하였다. 우리 민족은 상고시대(上古時代)부터 현대 한복에 이르기까지 위에는 웃옷을 입고, 아래에는 바지를 착용하는 상의하고(上衣下袴)를 기본으로 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삼국시대에 이어 통 넓은 바지를 입었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평민층의 바지는 역시 통이 좁은 바지인 궁고(窮袴)가 계속해서 입혀지고 있었다. 흥덕왕 때의 복식금제령을 통해 상하계급의 남녀가 모두 바지를 겉옷으로 입는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삼국시대와 마찬가지로 통일신라시대에도 평상시에는 여자가 바지를 입는 풍습은 지속되었으며, 치마만 입는 일은 드물었고 의례용으로 치마를 바지 위에 덧입었으리라고 추측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목에 둘러 길게 드리운, 표(裱)
    표(裱)는 당나라 제도에서 나온 영포(領布)를 말하는 것이다. 영포는 일종의 목도리로 여인들이 목뒤부터 가슴 앞으로 길게 장식으로 둘렀다. 표는 통일신라시대 복식의 기본 형태로 상의와 하의에 표를 두르고 표의를 입었다. 표는 상의인 단의의 소매 형태와 크기와 함께 신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라 흥덕왕 때의 복식금제(服飾禁制)의 내용으로 보아 표에 대한 장식이 극히 호화로웠음을 알 수 있다. 표의 형태를 볼 수 있는 유물로는 경주 용강동에서 출토된 여인상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