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상대시대 복식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전국

    폭으로 나눈 바지의 종류, 대구고(大口袴)와 궁고(窮袴)
    북방계 유목민이었던 우리 민족에게 반드시 필요했던 복식인 바지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착용했다. 상대복식의 기본인 고는 폭이 넓은 바지인 대구고(大口袴)와 폭이 좁은 바지인 궁고(窮袴)가 있었으며, 신분에 따라 바지의 폭·길이·색 따위를 구별하였다. 이 외에 길이가 짧은 바지인 곤(잠뱅이)이나 관고, 세고 등이 있고, 여자들의 경우 치마 밑으로 속바지를 입은 모습을 고분 벽화에서 볼 수 있다. 삼국의 바지 형태는 모두 비슷하지만 백제는 백제국사가 착용한 통이 넓고 대님을 매지 않은 바지 형태에서 백제 바지의 특성을 볼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정상이 뾰족한 관모라는 뜻을 가진 변상관모(弁狀冠帽)
    변(弁)은 우리 말로 ‘곳갈’ 또는 고깔이라고도 한다. ‘곳’은 첨각을 의미하고 ‘갈’은 관모를 의미한다. 그래서 ‘곳갈’은 정상이 뾰족한 관모라는 뜻이 된다. 변상관모는 이러한 변의 형태를 지닌 관모라는 뜻이다. 변상관모는 고구려 뿐만 아니라 가야, 백제, 신라에서도 통용되었던 상대 우리나라 고유의 관모로서 삼국문화의 공통성을 엿볼 수 있다. 상대시대에 가장 널리 사용된 관모로 이 관모에 새의 깃털을 꽂아 전투모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남방계와 북방계의 신발, 이(履)와 화(靴)
    이(履)는 신목이 짧은 신의 총칭으로 신발의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며, 남방족계의 신이며, 화(靴)는 장화와 같이 신목이 높이 달린 신으로 방한, 방침에 적당하여 무풍적인 북방계의 신이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두 종류의 신을 혼용하여 착용했기 때문에 먼저 생긴 신의 형태는 알 수 없으나 고유 복식이 북방호복 계통이므로 고유의 신은 목이 긴 화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삼국 이전에는 이미 풀과 가죽을 이용한 신을 신었으며, 부여의 초탑, 마한의 초갹, 초갹답, 초리 같은 다양한 신의 종류를 바탕으로 삼국시대의 신발이 발달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