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문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경기 >양평군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곳, 양평 ‘두물머리나루’
    경기도 양평군 두물머리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 하나의 물줄기가 되어 한강이 되는 곳이다. 두 개의 물줄기로부터 많은 물산이 두물머리로 쏟아져 들어왔다. 이곳을 거쳐 서울 뚝섬나루와 마포나루로 옮겨 갔기에, 두물머리는 한강으로 들어가는 물산의 집산지였다. 조선시대 정조가 화성행궁으로 갈 때면 세미원과 두물머리에 배다리를 만들어 건넜다고 하는데, 이 배다리는 두물머리 인근에 묘소를 쓴 다산 정약용이 설계했다. 1973년 팔당댐이 건립되어 강항(江港)의 물류가 줄고, 나루터 주변은 그린벨트로 지정되어 어로와 선박 건조와 운행 등의 행위 등이 모두 중단되었다. 1990년대까지 간혹 나루가 운행되었으나 그 후로 나루터 기능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풍광이 좋은 공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양평군 양수역에서 출발해 두물머리 나루 주변을 돌아본다 하여 ‘두물머리 물래길’이라 이름 붙인 산책길로 유명세를 얻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안성시

    포도향 그윽한 절충식 성당, 안성 구포동성당
    경기도 안성시 구포동에는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구포동성당이 있다. 안성 구포동성당은 프랑스 선교사 공베르 신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정면에서 보면 세 개의 뾰족한 종탑이 인상적인 서양식 건물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지붕에 기와가 올려진 한옥 형태인 절충식 구조다. 한편 공베르 신부가 미사용 포도주를 만들기 위해 포도나무를 심게 된 것을 계기로 안성에 포도 농가가 많이 늘어났다. 공베르 신부의 여러 업적을 기념해 성당에 흉상이 세워져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기 >시흥시

    생태공원에 남아 있는 일제 수탈의 흔적, 소래염전 소금창고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과 경기도 시흥시 월곡동, 장곡동, 포동 일대에는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소래염전이 있었다. 일본은 우리나라 사람이 피땀 흘려 산출한 소금 대부분을 자기 나라로 반출했다. 소래염전은 해수를 농축시켜 소금을 생산하는 천일제염 방식을 사용하는 염전이었다. 천일염전은 소금을 산출한 후 보관하기 위한 창고가 반드시 필요했다. 이에 소래염전에는 40여 동의 소금창고가 있었으나 현재는 거의 다 소실되고 소래습지생태공원과 갯골생태공원에 몇 동만 남아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근대 문물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전통의 인쇄문화와 근대 문물의 결합, 활판인쇄기
    우리나라의 인쇄문화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 전 세계에서 현존하는 인쇄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만든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고,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은 『직지심체요절』이다.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는 서양에서 만들어진 근대적 인쇄기계가 도입되었다. 특히 활판인쇄기는 서양에서 만들어진 철제 도구였지만 여기에서 사용하는 활자와 활판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친숙한 개념이었다. 개항 이후 수많은 신문들과 서적들이 간행될 수 있었던 데에는 활자와 활판을 이용했던 우리나라의 인쇄문화와 철제 활판인쇄기가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문석봉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대전 >유성구

    을미의병의 효시 의병장 문석봉
    문석봉(文錫鳳, 1851~1896)은 한말의병장이었다. 1893년 별시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갔다. 1894년 양호소모사로 임명되어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다. 이후 단발령과 변복령 등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9월 18일 대전시 유성에서 의병을 모아 의거를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전 >중구

    절제된 화려함과 교태미의 진수, 무용가 임이조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전수조교이자 제97호 살풀이 이수자인 임이조는 여러 스승에게 배운 발레, 신무용, 전통무용 등을 바탕으로 창작 작품을 만들어 대중에게 다가갔다. 난해하게 느껴지는 예술이 아닌 대중이 좋아하고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을 추구하였고, 관객과의 교감을 중요시한 무용가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대전 >서구

    조선땅 황톳빛의 화가 이동훈(李東勳)
    한국의 대표적인 풍경화가이자 교육자이다. 평안북도 태천 출생으로, 1세대 서양화가이지만 일본풍이나 계파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가장 한국적인 토속풍경을 복원한 화가다. 광복 직전 대전으로 내려와 시골 농가의 풍경이나 전원의 들판, 소박한 어촌 마을 등을 따뜻하고 소박한 시선의 사실주의적 필치로 그렸다. 40여 년간 교육자로서 많은 미술가들을 길러내며, 대전 화단의 기틀을 마련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영주문화원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0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서울 >성북구

    한국 소설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린 이태준
    이태준은 한국의 대표적 근대 소설가이다. 「달밤」, 「장마」, 「손거부」 등의 단편소설은 문체와 구성이 탁월하여 근대 소설 형식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가 쓴 「문장강화」는 지금까지도 글쓰기의 교본으로 여겨지고 있다. 종합문예지 「문장」을 만들었으며, 순수문학을 지향한 구인회에 가담했으나 1946년 월북했다. 서울 성북동의 수연산방은 이태준이 거주했던 가옥으로 운치있는 분위기의 찻집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추사체와 「세한도」를 남긴 김정희
    추사체를 만든 조선후기 문신이자 실학자, 서화가이다. 김정희는 학문뿐만 아니라 그림과 초서, 해서, 전서, 예서 등의 글씨에까지 뛰어났던 인물이다. 학문, 예술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북한산에 있던 비석이 진흥왕 순수비라는 것을 고증학적으로 밝혀냈다. 말년에 그만의 글씨체인 추사체를 완성하였고, 산수화와 난초 그림을 잘 그렸다. 그가 남긴 「세한도」에는 그의 개성이 잘 드러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성북구

    화강암 석조건축으로 학교를 만든 건축가 박동진
    박동진은 한국의 건축가이다. 우리나라 제1세대 근대건축가의 한 사람으로 고딕 양식의 석조건물로 우리 민족의 정신과 기풍을 담아낸 건축가로 평가된다. 붉은 벽돌로 지은 일본계 학교와 대조되는 화강암 고딕 양식의 한국 학교건축을 만들어낸 장본인이다. 주요 작품으로 보성전문학교 본관과 중앙도서관을 비롯하여 영락교회, 남대문교회, 중앙중학교 본관 등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충청남도 문화예술인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충남 >보령시

    한국 1세대 여배우, 복혜숙
    복혜숙은 1920년대 한국 1세대 연극영화인으로 60여 년간 활동한 배우이다. 수예를 배우러 간 일본에서 복혜숙은 연극, 가부키 등 공연에 매료되어 이를 계기로 배우가 되어 보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서, 무용연구소에서 춤을 배우고 공연을 하였다. 여배우의 활동에 제약이 있었던 당시에도 진취적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한 배우였다. 복혜숙은 300여 편이 넘는 영화와 TV 드라마에 출연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충남 >천안시

    민족 영화의 아버지 윤봉춘
    윤봉춘은 동고동락했던 나운규와 함께 한국 영화예술의 개척자 중 한 명이다. 독립군에 가담해 항일전에 투신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몇 차례 옥고를 치른 후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영화를 제작해 항일민족의식 고취에 힘썼고, 감독과 배우로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 1935년부터 1937년까지 거의 매일 일기를 작성하여 당시 한국영화 제작의 구체적인 사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서귀포시

    횃불에서 도대불로
    도대불 또는 등명대(燈明臺)라고 불리는 등대는 현대식 등대가 도입되기 전에 제주 지역에서 야간에 배들이 무사히 귀항할 수 있도록 항구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던 민간 등대이다. 도내에 현존하는 도대불은 1910년대부터 지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대불은 현존하는 것 가운데 북촌리 도대불 가장 오래된 것으로 1915년에 만들어졌다. 주민들 대부분은 이 등대를 도대불이라 불렀지만 등명대나 관망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말이 끄는 연자방아, 제주 애월 말방아
    말방아는 말을 이용하여 곡식을 찧는 연자방의 제주도 말이다. 제주도 말방아는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 있는 ‘잣동네 말방아’와 신엄리에 있는 ‘당거리동네 말방아’가 대표적이다. 잣동네 말방아는 ‘도깨비 수덕’에서 돌을 채취하여 가공한 후 마을까지 굴려서 왔다. 당거리동네 말방아는 ‘도들왓’에서 채취한 돌을 마을로 가져와 마을주민들이 직접 만들었다. 당거리동네에는 말방아계와 관련된 문서가 있었으나 현재는 행방을 알 수 없다. 말방아와 관련된 구비문학으로는 「ᄆᆞᆯ방이소리」 또는 「연자방아노래」가 전해지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제주 >제주시

    천연 에너지 태양열을 이용한 제주 구엄리 돌염전
    구엄리 돌염전은 암석해안 암반을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소금을 만들던 곳이었다. 육지에선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소금을 검고 평평한 천연암반 위에서 생산하였고, 이 돌염전을 제주도 말로 '소금빌레'라 하였다. ‘소금빌레’는 ‘소금을 만드는 밭’이라는 의미이다. 소금빌레는 명맥이 1950년대까지 이어졌고, 여기에서 생산되는 소금의 양은 1년에 28,800금(17톤) 정도 였다고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장묘문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남 >완도군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의 초분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에서는 초분을 초빈이라고 불렀다. 초빈이라고 부른 것은 초분을 빈소의 연장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청산도에서는 일반적으로 경작지 주변에 자리를 마련하며, 짐승들로부터의 피해를 막기 위해 울타리를 만들어 둔다. 보통 3년, 길게는 10년 후 수습하여 장지로 이장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경북 >울진군

    한국 추상미술의 대부, 유영국(劉永國)
    한국 모더니즘의 제1세대 작가이자 추상미술의 선구자다. ‘산’을 그린 화가로 유명하다. 1960년대 말부터 산을 모티브로 하는 비구상적 형태로서의 자연을 선, 면, 색채로 탐구했다. 강렬한 원색과 절제된 구성이 특징인 유영국의 추상화에는 절정과 달관의 경지에서 구축한 장대한 자연의 숭고미가 응축되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