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김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목사 김제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원주시

    김제갑과 원주 주민들이 일본에 맞서 끝까지 싸운 영원산성
    이 산성은 원주의 동쪽으로 25~30리 지점에 있는 진산인 치악산 남쪽 기슭에 있는 석성으로, 역시 치악산 중턱에 있는 금대성과 함께 원주의 동쪽을 지키는 요충이었다. 여장, 치성, 성문 등이 구비된 신라 하대 산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신라말 가장 큰 지방세력이었던 북원(北原)의 양길(梁吉)·궁예(弓裔)와 관련된 사적으로 보이며 1291년(고려 충렬왕 17) 원충갑(元冲甲)이 지역의 방위군과 합단(哈丹)의 침략군을 통쾌히 무찌른 곳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 때 목사 김제갑의 지휘 아래 원주 일대의 주민들이 끝까지 항전하다가 함락된 비극의 현장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춘천시

    소규모의 유격전으로 왜적에 대항한 강원도의병
    1592년 8월 중순 안변부에서 동해안을 타고 남쪽으로 내려온 왜적을 맞아 강릉·삼척·북평 등지에서 모인 의병들이 피난민들과 함께 두타산성을 거점으로 농성하며 전투를 전개하여 왜군에게 큰 피해를 주었다. 또 양구 군민들은 사명산에서 모여 왜적을 격파하였으며, 평창과 원주, 횡성 등지에서도 군민들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의병을 조직하여 왜적을 방어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정읍시

    강일순, 민중을 구제하는 증산교를 만들다
    강일순은 동학혁명에 희망을 가지고 참여했던 민중들이 좌절하며 겪는 고통을 보면서 민중을 구제할 사람은 자기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구제 방법을 모색한다. 그는 세상과 민중을 구제할 방법은 많은 희생이 따르는 동학혁명 같은 것이 아니라 종교라고 생각하고 증산교를 창교한다. 자신이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내려온 미륵이며, 우리 인류가 꿈꾸는 이상사회 ‘용화회상’이 곧 올 것이라고 하여 민중들에게 희망과 꿈을 심어줌으로써 좌절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지평선과 수평선이 모두 보이는 망해사
    망해사는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의 진봉산에 자리한 절이다. 망해사는 인접한 서해의 수평선과 평야의 지평선을 모두 내려다볼 수 있는 특별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이 절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는데, 부설거사와 관련하여 창건설화가 전해진다. 망해사는 고려시대에 중창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쇠락했으나, 인조 대에는 진묵대사에 의해 세력을 회복했다. 망해사의 낙서전은 1589년에 세워졌는데 그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6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애국지사 장태수 생가이자 순국지, 남강정사(南崗精舍)
    장태수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절명지사이다. 1861년(철종 12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정랑, 사헌부 지평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895년(고종 32) 단발령이 시행되자 벼슬을 던지고 낙향하여 스스로 남강거사(南岡居士)라 칭하였다. 1910년 일본에 의해 나라가 강제 합병되자 불효와 불충의 죄를 자청하며 단식에 돌입하여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유적으로는 장태수가 절명한 자택 남강정사(南崗精舍)와 그의 신위를 배향한 사당 서강사(西岡祠)가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제 가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고래등 기와집이 부럽지 않은 초가집, 김제 오영순 가옥
    김제 오영순 가옥은 왕개산 아래에 있는 초가집으로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의 죽절마을에 있다. 19세기 중엽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지을 당시에는 초가삼간이었으나 20세기 초에 아래쪽을 중·개축한 것으로 여겨진다. 초가집으로는 드물게 규모가 큰 것이 특징이고, 부엌 남측에 밥청이 있는 것도 독특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제 마을신앙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김제 입석동 입석마을 당산제
    김제시 입석동 입석마을 주민들은 당산 할머니 신의 신체인 입석에 해마다 제의를 지낸다. 입석마을 당산제의 근간이 되는 이 신체는 현재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7호로 지정되어 있다. 입석마을의 당산제는 크게 제의와 줄다리기이다. 줄을 먼저 제작한 다음 마을주민이 줄다리기를 한다. 정월 대보름 저녁이 되면 풍물패가 풍물을 쳐 제의 시작을 알린다. 미리 제작해 놓은 줄을 행사장에 길게 늘어뜨린 다음 그곳에서 판굿을 친다. 한바탕의 굿이 끝나고 보름달이 떠오르면 남자들은 수줄을 메고 여자들은 암줄을 메고 '고 놀이'를 한다. 수줄과 암줄의 결합이 마무리되면 남녀로 구분하여 줄다리기한다. 세 판으로 승부를 겨루는데 여자가 이긴다. 여자 쪽에는 결혼하지 않는 남자도 포함된다. 이 과정에 이어서 줄 당기기에 사용했던 줄을 입석에 감는 의식이 행해진다. 본격적으로 당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제의는 제관의 주도하에 진행되며 유교식으로 행해진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제의노동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김제 궁지마을의 「상사소리」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에는 궁지·후남·남산마을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김제에서는 모를 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른다. 그래서 김제 궁지마을에서 터 다질 때 부르는 「상사소리」는 모심을 때 부르는 노래와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터다지기는 보통 집터 다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집터를 다질 때는 일반적으로 낮의 일과를 모두 마치고 저녁에 울력으로 도와준다. 그러면 집주인은 안주와 술로 대접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김제지명유래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옥동자가 태어난 김제 옥쇄골
    신행을 가던 신부가 산통이 왔다. 가마꾼들은 당황하였지만 침착하게 옥쇄골에 가마를 내려놓고 쉬도록 했다. 그 사이 신랑과 산파가 도착하여 신부는 무사히 사내아이를 출산하였다. 이씨 집안에서 태어나 옥동자는 자라서 조선을 건국하는 데 큰 힘을 보탰고, 가문의 중시조가 되었다. 이후 마을에서는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옥동자가 태어난 마을이라고 해서 옥새골[玉璽골] 또는 옥쇄골[玉碎골]이라 불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제국의 마름들'이 설치던 곳,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는 1926년 일본인 대지주 하시모토가 지은 건물이다. 하시모토는 1910년대부터 김제에 들어와 농민 수탈과 고리대금업으로 죽산면 땅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농장 사무소는 근대 절충주의 양식을 보여주는 건축물이지만 ‘제국의 마름들’이 만경평야 농민들의 고혈을 쥐어짜는 본거지 역할을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벼 고을 문화재에 깃들어 있는 이야기

    출처 :전라북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전북 >김제시

    벼 고을 문화재에 깃들어 있는 이야기
    전북 김제의 농경 문화재를 소개하는 책이다. 전북 김제는 호남평야의 중심지이자 전국 최대 저수지인 벽골제를 기반으로 수리 영농(물을 이용한 농업)을 최초로 시작한 국내 농경문화의 발상지이다. 풍요로운 농경문화를 보여주는 김제의 사적지, 사찰 유물, 천연기념물, 인물, 지방기념물, 민속자료 등을 정리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 테마스토리 전북 >김제시

    벽골제를 지킨 단야낭자를 기리는 벽골제 쌍룡놀이
    벽골제 쌍룡놀이는 벽골제를 지키기 위해 청룡에게 몸을 바친 단야 낭자 전설에서 유래했다. 인간과 용의 갈등 관계를 이야기로 풀어내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적 성격을 갖고 있다. 전설 속의 단야는 결국 죽음을 맞지만, 놀이에서는 단야가 되살아나 마을 잔치가 벌어지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