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경기도와 호남, 호서지방에서 성행했던 기호유학(畿湖儒學)을 소개하는 다큐멘터리이다. 논산에는 사계 김장생, 신독재 김집, 명재 윤증 등 쟁쟁한 문인들이 기거했다. 이들과 관련된 서원과 향교를 소개하고, 제향 모습, 관련자 인터뷰 등을 담았다.
송익필과 이이의 문하에서 수학한 김장생은 실천과 고증을 통해 조선의 예학을 정밀하게 하고 체계화하였다. 왜란과 호란,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등 안팎으로 혼란한 시기를 살았던 김장생은 “예는 하늘의 이치를 성문화한 규범이요, 인간이 따라야 할 규칙”이라는 주자의 가르침을 더욱 강조하며 의리와 명분이 있는 성리학적 예법으로 조선 왕실의 왕통과 유교 사회의 질서를 바로 세우고자 하였다.
돈암서원은 조선의 예학을 학문적으로 자리매김한 김장생을 배향하는 서원으로, 김장생이 후학을 가르치던 양성당 옆에 세워졌다가 후에 지금의 위치로 이건 되었다. 서원에는 김장생의 뒤를 이어 학문과 강학을 이어간 아들 김집과 제자인 송시열과 송준길이 함께 배향되어 있어 조선 예학을 이끌었던 주요 선현들을 만날 수 있다. 19세기 들어 주변 지형이 변하고 서원 앞에 흐르는 사계천이 범람하면서 침수피해가 커지자 1880년(고종 17)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워졌다. 건물이 웅장했던 강당 응도당은 1971년에 이르러서야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이건 과정에서 당초의 건물배치와는 다른 모습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김집은 서울 출신으로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호는 신독재(愼獨齋)이고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다. 그는 사계 김장생을 학문적으로 계승하여 일상 속에서 예를 실천해야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의 아버지인 김장생을 비롯해 송시열, 송준길, 윤선거 등과 함께 기호 예학의 체계를 완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강 정구는 김굉필의 외손으로 도동서원을 중수하고 도동원규를 지은 인물이다.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으며 특히 예학에 관한 탐구와 체계를 이론화하였다. 정구는 예가 모든 인간관계의 기본이 되고 온 사회가 예를 알고 예를 지키기를 바랐다. 예와 관련된 저서들을 남겼고 지방관이 되어서는 때에 따라 향촌에서 의례를 행하며 예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도봉산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손꼽히는 유희경은 당시 시문으로 이름을 날린 문인이었다. 어려서부터 효자로 지역에서 소문이 자자했던 유희경은 돌아가신 아버지의 시묘살이를 하던 중 남언경을 만나 예학을 배우게 된다. 유희경은 비록 천인의 낮은 신분으로 태어났음에도 예학과 시문에 능했으며, 당대 다양한 문인들과 교류하는 등 사대부의 삶을 살다간 인물이었다. 또한 유희경은 기생 매창과의 사랑이야기로 유명한데, 두 사람이 주고받은 시문을 통해 그들의 사랑을 엿볼 수 있다. 유희경과 매창의 사랑은 오늘날에도 도봉산에 남아 그들을 기리는 시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생활과 민속 / 민속
문화유산 / 서화
지방의 역사 / 현대
종교와 문화 / 종교
성씨와 인물 / 인물
종교와 문화 / 문화예술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