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일제시대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서울 >서대문구

    ‘식민지 근대’ 국가폭력의 맨얼굴, 구 서울구치소
    구 서울구치소의 최초 명칭은 경성감옥이다. 경성감옥은, 갑오개혁으로 사법과 행형 영역에도 근대적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정착되지는 못했던 1907년 짓기 시작해 1908년 운영을 시작했다. 정미년 의병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경성감옥의 제1호 사형수도 의병장 허위다. 경성감옥은 서대문감옥, 서대문형무소로 명칭이 바뀌었다. 500명 수용 규모로 지어진 감옥은 의병, 독립운동가 등의 수감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증축을 거듭하였다. 서대문형무소에는 주로 사상범이 수감되었다. 서대문형무소는 고문으로 악명이 높았고, ‘짐승 우리’를 방불케 하는 열악한 시설로 운영되었다. 해방 후에도 국가폭력의 역사로 얼룩진 면모를 이어가다가, 1987년 폐쇄되었다. 1988년 일부 남은 시설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대에 서대문 독립공원이 되었고,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을 개관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인천 >중구

    청요릿집에서도 일본인 음식점에서도 팔았던 우동
    우동은 밀가루로 만든 국수요리를 의미하는 일본어이다. 일본의 기본적인 우동은 가쓰오부시를 우려낸 국물에 대파만 고명으로 얹은 가께우동이었는데 이것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도 가장 싼 음식 중 하나였다. 중국요릿집에도 우동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자장면처럼 가장 싼 메뉴였다. 중국요리집이나 일본음식점에서 우동은 10전 정도로 팔았다. 이는 호떡 보다 살짝 비싼 정도의 가격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에는 우동집이라는 식당도 있었는데 우동과 함께 술을 파는 술집이었다. 젊은 아가씨를 종업원으로 둔 우동집은 조선 곳곳에 생겨서 조선 청년들에게 술을 권한다는 탄식을 자아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도시의 큰 수입원이 된 도축장
    조선시대까지 소의 도축은 국가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 소의 도살을 국가가 금지하지 않는다. 대신 소나 돼지 등 가축을 도살할 때 국가의 허락을 받고 도축장에서 도살하여야 했다. 물론 도축을 하려는 사람은 도축장에 돈을 내야 했다. 도축장에서 받는 돈이 도축장을 설치한 도시의 큰 수입원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서울에 있던 도축장은 신설리와 아현리에 있었다. 서대문 형무소 옆 경성도축장과 용산도축장은 민영이었는데, 경성부에서 1916년 차례로 매수한 후 신설리와 아현리의 부영 도축장을 페쇄하고 경성도축장으로 통일하였다. 1925년 말 신설리에 전기도축시설을 갖춘 건물을 신축하여 도축장을 그 곳으로 이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서울 >영등포구

    모리나가제과에서 생산된 과자와 사탕
    일제시대 조선의 서양과자는 일본에서 받아들여 공장에서 대량판매한 과자가 들어온 것이었다. 대표적인 회사가 일본의 삼영제과(森永製菓)즉 모리나가 제과였는데 조선에 큰 공장을 세우고 대량생산을 하면서 신문에 광고도 많이 하였다. 밀크카라멜, 밀크 초코렛, 비스켓 등을 이 회사가 생산하였다. 이러한 사탕과 과자는 일본 어린이들도 상당히 좋아하였는데, 1925년 무렵 일본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과자를 조사했더니 밀크카라멜을 좋아하는 아이가 제일 많아 26명, 그 외 초콜렛, 비스켓등을 일본어린이들이 좋아하였다. 이에 비해 조선 아이들은 말눈깔사탕이 일등 후보자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신문 기사를 보면 밀크카라멜이나 초코렛, 비스켓이 평범한 조선 어린이들이 먹기에는 다소 비싼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일제시대 기본 밑반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거제시

    진해만의 대구 잡이
    대구포는 대구를 말린 것으로 밑반찬이나 제사음식으로 쓰였다. 대구포를 만드는 대구어는 경남 창원 인근의 진해만이 최대 어장이다. 진해만에 있는 대구어장의 중심은 거제군 장목면 외포리이다. 1979년 무렵에는 어민 450여명이 60여척의 배로 대구를 잡을 정도였다. 한반도의 대구어는 동해 계통 대구어와 서부 황해계통의 대구어로 나뉜다. 황해방면의 대구어는 체형이 왜소하고 동해계통 대구어보다 맛이 떨어진다. 진해만의 대구어는 동해 계통 대구어가 산란을 위해 왔다가 잡히는 것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일제시대 제분공장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분식 일상화의 기반이 된 밀가루
    밀가루는 조선시대까지 국내 생산으로 필요를 충당하였다. 술을 만드는데 꼭 필요한 누룩은 밀가루로 만들었기 때문에 전근대시기 밀가루는 귀했다. 그러나 일제시대 만주와 미국, 호주 등지에서 밀이 수입되고 한반도에 제분공장이 세워진다. 1920년대 제분공장은 진남포와 경성에 하나씩 존재했다. 진남포의 제분공장은 만주와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의 밀을 제분했고, 경성의 풍국제분공장은 호주와 미국에서 수입되는 밀을 주로 제분하였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