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반친영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 테마스토리 관심지역 서울 >종로구

    한국 전통혼례와 중국 혼례를 결합한 반친영
    반친영은 한국의 전통적 혼인방식인 남귀여가혼(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고 신부집에서 혼인생활을 시작하는 전통 혼인방식)과 중국 전통의 혼인절차인 친영(신랑이 신부집에서 신부를 맞아와 자기 집에서 혼례를 치르는 방식)의 일부를 접목한 혼인 방식이다. 혼례장소는 한국 전통에 맞춰 신붓집에서 하되, 절차는 중국식으로 당일상견례와 다음날 폐백으로 진행했다. 반친영은 16세기 이후 서울의 일부 사대부가를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결혼식과 신혼생활을 여자 집에서 했던 남귀여가혼
    남귀여가혼(男歸女嫁婚)은 신랑이 신붓집으로 가서 혼례(婚禮)를 치르고 부부생활을 신붓집에서 시작하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혼인방식이다. 부귀부가(夫歸婦家) 또는 서류부가(壻留婦家)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붓집에서 삼일동안 혼례식이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를 삼일 잔치 혹은 삼일대반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남귀여가혼은 조선시대 성리학이 대세가 되면서 친영례의 영향을 받아 변한다. 혼례식은 그대로 신붓집에서 진행되고 신랑이 신붓집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든 ‘반친영’ 방식으로 변화하여 남귀여가혼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시부모님을 처음 뵙는 상에 올리는 폐백음식
    폐백음식이란 일반적으로 신부가 처음 시부모님께 예를 올릴 때 상에 올라가는 음식을 부르는 말이다. 본래는 왕가의 친영혼에서 선물을 주고받던 납폐의 과정이 민가에 전해지면서 생겨난 말이다. 민가에서는 현구고례를 폐백이라고 부르며, 올라가는 음식은 지역마다 차이가 나타난다. 현재에도 간소화되었지만 전승되고 있는 풍습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