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농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농가맛집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북 >경주시

    “기다림의 맛, 지역에서 재배한 콩으로 만든 두부삼합”
    농촌진흥청은 2007년부터 농가의 소득 증가를 위해 농가맛집 사업을 추진했다. 경주에서는 콩을 활용한 요리가 농가맛집 사업 음식으로 선정되었다. 그것이 두부삼합이다. 다시마 두부와 돼지고기 수육, 가자미 식해로 이루어진 두부삼합은 두부의 담백함, 수육의 구수함, 가자미의 매콤새콤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 두부는 항암효과도 있고 몸에 좋지만, 체내의 요오드를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문제가 있다. 다시마를 함께 먹으면 요오드 균형을 맞출 수 있어, 이 집에선 손두부를 만들 때 다시마 가루를 넣는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업용 견인기의 대명사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농촌 생활의 동반자 트랙터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해서 각종 작업을 하는 작업용 자동차로 한국에서는 농업용이나 토목건설용 차의 대명사로 되었으나, 정확히는 견인차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 트럭이나 트레일러 버스의 선두에서 당기는 차를 말한다.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일반 자동차와 같으나 강력한 엔진을 장비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산업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경남 >함안군

    경남 함안의 보리타작하며 부르는 어화소리
    「밭작물도리깨질하는소리」는 밭작물 즉, 보리나 콩, 조, 밀 등의 이삭을 도리깨로 두드려 낟알을 떨어내며 부르던 노래이다. 함안에서는 「밭작물도리깨질하는소리」로 어화소리를 불렀다. 어화소리는 경상남북도와 전라북도, 충청남북도에서 널리 불렸다. 가창방식은 선후창으로 1마디 또는 2~3음절의 메기는소리, 즉 전언가사에 “어화” “에화” “어하” 등의 받는소리 즉 디딤가사를 붙였다. 상도리깨가 먼저 두드리면서 노래를 부르면 후도리깨가 한꺼번에 두드리며 일을 한다. 한 박에 도리깨를 들어올리고 다음 박에 내려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민문학 얼마나 알고있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이광수의 ‘흙’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장편소설. 1932년 4월 12일부터 1933년 7월 10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그 뒤 1953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이 작품의 창작배경을 동아일보에서 추진하고 있던 '브나르드 운동'이고, 농민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일제에 의해 수탈당하던 당대의 피폐한 농촌을 배경으로 주인공 허숭이 농촌 계몽운동을 벌이면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의 고난과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이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주인공‘허숭’의 행보에서 드러나는 농촌에 대한 사랑과 귀농 의지는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인 농촌을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작가의 계몽의식, 민족의식과 관련이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북한

    최서해의 ‘홍염’
    최서해(崔曙海)가 지은 단편소설. 1927년 1월 『조선문단』에 발표되었다. 주인공 문 서방은 조선에서 간도로 건너가 소작인으로 살아간다. 소작료를 제때 내지 못해 그의 외동딸 용례(용녀)를 지주 인가에게 빼앗기게 된다. 이에 충격을 받은 아내가 미쳐 세상을 떠나는 비극이 발생한다. 이에 문 서방은 사위가 된 중국인 지주 인가의 집에 불을 지르고 뛰쳐나온 그를 도끼로 쳐 살해하고, 딸을 구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지개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북한

    '북으로 북으로' 농민 이주와 조선전기 농지개간
    조선이 내세운 경제정책은 ‘무본억말’, 즉 농사에 힘쓰고 상업을 억제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요하게 인식된 것이 농지를 개간하는 것이었다. 조선 전기 북방 지역을 대상으로 농지 개간이 이뤄졌다. 특히 평안도 함길도 등지의 농지개간을 위해서 삼남지방의 백성들을 강제 이주시켰으며 이로 인해 농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기구 이야기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3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쭉정이를 솎아 내는 키, 풍구
    키와 풍구는 곡식에 섞인 쭉정이・검부러기・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이다. 다만 키는 까부르는 형태이며, 풍구는 둥근 틀 속에 날개가 있어 이것이 바람을 일으키는 형태이다. 이들 기구는 낟알의 밀도, 중력을 이용하여 알곡을 선별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작은 것은 나가고 큰 것은 걸리는 체
    체는 가루를 치거나 알갱이, 술과 같은 액체를 거르는 용도로 쓰이는 기구이다. 기본원리는 작은 구멍으로 알갱이 등을 통과시켜 입자가 작은 것은 빠져나가고, 입자가 큰 것은 걸러지는 것이다. 쳇바퀴, 아들바퀴, 쳇불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할 때에는 쳇다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공사장에서도 쓰이는 삽
    삽은 흙을 파거나 퍼 옮기는데 소용되는 농기구이다. 긴 자루에 날이 달린 형태를 하고 있다. 현재 삽은 농사일뿐만 아니라 공사장과 같은 곳에서도 널리 쓰이는데 전통적으로도 삽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예를 들면 풀을 베거나, 우물을 파거나, 대나무 뿌리를 자르고 흙을 덮는데 쓰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삽은 농기계를 쓸 수 없는 곳에서 여전히 폭넓게 활용되는 농기구이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바우 설화

연관자료

  • 지역문화 Pick (1건)
자세히보기
  • 농바우끄시기 설화 마당극 '농바우 이야기'

    출처 :충청남도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Pick 충남 >금산군

    농바우끄시기 설화 마당극 '농바우 이야기'
    충청남도 농바우 설화를 모티브로 기획된 마당극 '농바우 이야기'의 제작 다큐멘터리이다. 농바우는 농처럼 생긴 바위라는 뜻으로, 민속 기우제의 일종인 '농바우끄시기'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등재되었다. 농바우끄시기의 유래와 철자, 특징을 설명하고 공연 실황과 현장 관계자 인터뷰를 영상에 담았다.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주민들이 직접 연습하고 공연해서 더욱 의미 있다.
    • 자료유형 : 도서간행물 > 단행본
    • 소장문화원 : 마포문화원

#강릉지역농요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농민수탈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2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토지조사사업과 일제강점기 농업
    토지조사사업은 1910~1918년 일본이 조선-대한제국의 식민지적 토지소유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의 국토조사사업이다. 조사사업의 내용은 토지 소유권의 조사, 토지가격의 조사, 지형에 대한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이의 수행을 위해 행정업무와 측량업무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 사업의 결과 이제까지 실제로 토지를 소유해왔던 수백만의 농민이 토지에 대한 권리를 잃고 소작인으로 전락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소작농들의 봉기 소작쟁의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1920년대 산미증산계획으로 농민의 80퍼센트가 소작인이 되었다. 지주는 소작료를 수확량의 80퍼센트 정도 받았다. 1920년대 사회주의 영향으로 의식이 성장한 농민들은 조선 농촌 동맹을 중심으로 소작인들의 권익을 얻기 위해 조합 등 단체를 만들었다. 소작쟁의의 목적은 소작료 인하이다. 1920년대 시작하여 1930년대 초에 가장 활발한 소작쟁의가 일어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농지 단위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농지 단위 마지기
    마지기는 논이나 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한자로는 두락(斗落)으로 표기하며 한 말의 씨앗을 뿌릴 수 있는 면적을 뜻한다. 또는 벼 4가마를 수확할 수 있는 면적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지역에 따라서 실제 면적은 차이가 날 수 있다. 마지기는 비공식적인 보조 단위이지만 농민의 생활과 밀착되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