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색
고급검색
관리번호
발행년도
시 대
연 대
선택조건
지역N문화 포털은 콘텐츠 생산자 및 연구자들을 위해 서지정보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은 문헌 및 온라인 콘텐츠 등 자료를 관리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은 소속기관 또는 개인 가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지역N문화 포털은 링크만 제공하고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관심지역 :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지역N문화 시작하기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계정입니다.
지역N문화는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사용중인 SNS로로그인하여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문화원이 기획하고 제작한 지역문화콘텐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전자책 제공
연극 '이기여~의기여! 이름 없는 꽃'은 부산 남구 이기대의 명칭에 얽힌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작한 뮤지컬이다.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끌어안고 자신을 희생한 두 기녀의 슬픈 이야기를 담았다.
경상남도 진주시 본선동 진주성에는 진주 의암 사적비가 있다. 진주 의암 사적비에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 장수를 끌어안고 함께 남강에 빠져 죽은 논개의 사연이 새겨져 있다. 진주 선비 정식이 어우야담의 기사와 시를 지어 새겼다. 당시 진주 사람들이 논개의 의로운 희생을 기념하기 위해 수차례 건의하여 진주 의암 사적비와 의기사가 세워지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진주논개제가 개최되면서 논개의 희생정신을 되새기고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있는 현충사에는 이순신 선무공신교서가 소장되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왜적과 맞서 싸워 나라를 구한 이순신 장군의 공로를 치하하기 위하여 선조 37년인 1604년에 내린 교서이다. 교서의 내용은 이순신 장군의 업적과 책훈에 따른 여러 포상 내역이 주를 이룬다. 특히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이전 북방 오랑캐 방비에 활약한 사실부터, 전란 당시 수군을 통솔하며 뛰어난 업적을 남긴 정황 등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 있는 점이 눈길을 끈다.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울산박물관에는 조선 후기 울산 도호부사라는 벼슬을 지낸 박명부가 지은 「울산민폐소(蔚山民弊疏)」 초고본이 소장되어 있다. 박명부는 울산 지역 백성들의 삶을 살핀 뒤 여러 폐단을 발견하고 그것을 바로잡기 바라는 내용의 「울산민폐소」를 임금께 올렸다. 「울산민폐소」를 통해 조선 후기 울산 지역의 실상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울산민폐소」는 울산박물관에 방문하면 관람할 수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소재한 한국국학진흥원에는 『정만록(征蠻錄)』이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당시 경상감영의 영리로 근무한 이탁영(李擢英)의 일기이다. 전란이 일어난 1592년부터 1598년까지의 일과를 소상히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사대부가 아닌 중인(中人) 아전의 시각에서 전란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역시 희귀한 자료이다.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위치한 충무사(忠武祠)에는 「우수영전진도첩(右水營戰陣圖帖)」이 소장되어 있다. 전라우수영의 수군 진법의 전모를 살필 수 있는 필사본 수첩(手帖)이다. 이 수첩에 기록된 주요 진법은 예진도, 직진도, 하방영도, 도진도, 학익진도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해상전투 대형을 묘사한 것이다. 조선시대 수군 진법에 관련한 구체적인 실태와 조선 후기 수군진의 운영 사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는 양대박과 양경우 부자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부자충의문(梁大撲父子忠義門)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대박은 남원에서 의병을 모아 고경명과 합세하여 운암전투에서 승리하였다. 그후 양대박은 진산을 지키다 세상을 떠났고, 양경우는 군량미 7천석을 모아 명나라 군대를 지원한 공으로 벼슬길에 올랐다. 1796년 양대박과 양경우 부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정려각과 비석이 세워졌다.
전라북도 정읍시 부전동 정읍시립박물관에는 『임계기사(壬癸記事)』라는 책이 소장되어 있다. 『임계기사』는 임진왜란 때 전라북도 정읍시에 살던 안의(安義)와 손홍록(孫弘祿)이 전주사고에 있던 『조선왕조실록』을 내장산으로 옮겨 1년 남짓 전쟁을 피해 온전히 지켜낸 과정을 기록한 자료이다. 안의와 손홍록의 행적이 담긴 『임계기사』를 통해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숭고한 업적을 확인할 수 있다.
독산성은 독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데, 오산과 수원, 화성에 걸쳐 평쳐진 평야 한가운데 우뚝 솟아 주변을 두루 살필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독산성은 백제시대에 처음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때 권율장군의 승전으로 군사적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여주 파사성, 용진 토성 등과 함게 도성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근거지가 되었다.
용암산성은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5호로 대구광역시의 북쪽 길목을 지키는 산성이다. 팔공산 자락인 해발 382m의 용암산에 자리 잡고 있으며 둘레는 1km 정도이고, 성벽의 높이는 약 10m 정도이다. 용암산성의 축성연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산성 안에서 삼국시대의 토기 조각들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남서쪽의 해발 320m 능선에는 삼국시대의 고분 20여 기가 있어 이 산성도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와 금수면 영천리 일대에 걸쳐 있는 독용산에 독용산성이 있다. 독용산성은 영남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포곡식 산성이다. 이 산성은 성산가야 때 만들어졌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왜군을 피해 독용산으로 피신하던 백성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후 경상도 관찰사 정중휘가 숙종 원년에 고쳐 쌓았다. 현재 성주호와 함께 성주 8경 중 제2경에 선정되어 자연과 역사유적이 공존하는 테마관광지로 거듭나고 있다.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증리에 진병산(陣兵山, 652m)이 있다. 진병산은 금병산(錦屛山)이라고도 하는데 김유정문학촌이 있는 증리마을 뒷산이다. 임진왜란 때 원호 장군이 진을 치고 왜군과 싸웠다고 해서 진병산이라 불렀다. 산 정상에 봉화터가 있는데, 석축이 남아 있고, 기와조각들이 흩어져 있다. 언제 어떻게 봉화가 운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봉화터가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부산진성은 부산광역시기념물 제7호로 동구 범일동에 있다. 이 성은 임진왜란 당시 제일 처음 왜군을 맞아 전투가 벌어졌던 곳으로 경상좌도 수군사령부였다. 부산진성은 병선의 정박지나 수군과 군수물자를 보호하기 위한 성이었다. 임진왜란 당시의 부산진성은 현재 범일1동의 증산공원에 있던 성이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붕괴되고 이후 부산진성에 딸린 진지성이었던 자성대를 수축하여 부산진첨사영으로 사용하였다.
SNS에 공유해보세요.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