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석탄산업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석탄산업합리화사업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전국

    폐광대책비 지급과 떠나가는 광부
    1993년부터 어떤 탄광이든 폐광할 수 있게되자 1989년부터 1996년까지 334개 탄광이 폐광했으며, 3,876억원의 폐광대책비가 지급됐다. 합리화 정책은 탄광촌의 존립기반을 무너뜨렸지만, 경영주와 탄광노동자들은 폐광 보상금을 받기 위해 폐광을 원했다. 이로 인해 합리화 이전 68,500명이던 탄광노동자는 2000년 들어 8,200명을 남기고 모두 탄광을 떠났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우리나라 최초의 탄전 지질 조사
    한반도에서 지질조사가 처음 시작된 것은 1800년대 후반의 일이다. 독일인 지질학자 칼 고트쉐가 「조선반도 지질답사기」를 작성했다. 이어서 동경제대의 고토오가 1900~1902년까지 조사하여 발표한 학술논문 등으로 체계적인 자료가 확보된다. 조선총독부가 1918년 ‘지질 조사소’, 1922년 ‘연료선광연구소’를 설치하여 발행한 「조선탄전조사보고」 자료는 광복 이후의 석탄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태백시

    석탄증산이 보국하는 길이다
    한때 ‘선(先) 증산, 후(後) 보안’ 또는 ‘선 생산, 후 안전’이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석탄 에너지원 확보가 시급하던 시절의 유행어이다. 석탄 증산을 ‘보국증산(保國增産)’이라는 구호로 대체하던 1960~1980년, 기업인 측에서도 안전보다는 증산에 신경을 더 썼다. 이러한 탄광 기업 측의 무모한 생산독려 행태를 두고 노동자인 광부들은 빗대어‘선 생산, 후 안전’ 혹은 ‘선 생산, 후 안보’라고 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전국

    탄광 운영 현황과 석탄 생산량
    1950년 대한석탄공사 창립 직후 운영한 곳은 장성·도계·영월·함백(강원도), 은성·문경·경주(경북), 화순(전남), 단양(충북) 등 총 9개 광업소였다.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통해 석탄 증산을 위한 민영탄광 설립을 지원하면서 광업소는 증가한다. 1972년에는 탄광 136개에 노동자 38,149명이, 1975년에는 탄광 239개에 45,645명이, 1986년에는 361개의 탄광에서 68,861명이, 석탄산업합리와 직전인 1988년에는 347개 탄광에서 62,259명이 종사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