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지역문화콘텐츠를 다양한 해시태그(#)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태그검색

태그검색

#명태으로 검색한 지역문화자료입니다.

#명태양식

연관자료

  • 테마스토리 (1건)
자세히보기
  • 테마스토리 강원 >강릉시

    인공양식에 성공한 명태
    명태는 대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바로 잡은 것을 생태, 얼린 것은 동태, 말린 것은 북어라고 한다. 옛날부터 명태는 원산, 북청 등 동해안에서 많이 잡았고, 남북이 분단된 이후에도 강원도를 중심으로 많이 잡혔다. 1980년대까지는 연평균 7만톤 넘게 잡히면서 동해안 수산자원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국민 생선이었다. 그러던 것이 2000년대 중반 이후 연간 1톤 내외일 정도로 어획량이 줄었다. 현재 국내 수요량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수입하는데 수입량은 연간 25만 톤 내외다. 이에 정부에서 명태 인공 양식 프로젝트를 2014년 시작하여 2016년 말 성공하였다. 인공양식이 성공하였으나 동해안에 많은 명태가 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고성군

    그 많던 명태는 어디로 갔을까? 명태를 추억하며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에는 명태잡이의 본고장인 거진항이 있다. 추운 겨울이 되면 명태를 잡으러 200여 척의 어선이 모여들었다. 우리나라 해산물 중 가장 많이 유통된 어물이 명태이다. 명태는 독(毒)이 없고, 달며, 속도 따뜻하게 해서 원기를 북돋아 주어 선호되었다.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명태를 어획하는데 맛이 가장 좋은 것은 12월에 어획한 알을 품고 ‘알태’이다. 산란을 하면 명태의 품질이 낮다 하여 ‘춘태’라 부른다. 1980년대 명태잡이가 활황이던 시절에 명태잡이 어선 70척 중 그물바리하는 어선 20척, 낚시로 잡는 어선 50척이 명태를 잡았다.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1999년 이후로는 어로가 중단되었으며, 그 후로는 도루묵잡이, 청어잡이를 한다. 명태복원사업단이 발촉되어 명태복원을 위해 노력중에 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인제군

    매서운 겨울, 서른네 번의 손이 가야 맛볼 수 있는 황태
    한국인에게 친숙한 생선 명태를 겨울에 눈을 맞혀가며 얼렸다 녹였다 반복하며 말린 것을 황태라고 한다. 눈이 오지 않고 포근한 날이 계속되면 검은빛의 먹태가 된다. 강원도 진부령에는 황태덕장이 있다. 옛날처럼 덕장에서 눈과 바람을 맞혀가며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여 말리는 것은 똑같지만 예전에는 개울물에 씻어 널어 말렸다면 요즘은 환경오염 때문에 바로 냉동창고로 직행했다 기온이 떨어지면 널어 말린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
  • 테마스토리 강원 >속초시

    1920년대엔 흔했으나 1930년대엔 귀해진 명란젓
    명란젓은 명태의 알로 담그는 젓갈로, 다른 어란에 비해 알집이 단단하지 않아 겨울에만 유통될 수 있었다. 1920년까지는 기록을 찾아보기도 힘들다. 그러다 1914년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원산 등 동해안 등지의 명란젓이 서울에도 유통되었다. 이후 1920년대까지 명란젓은 흔한 음식이었으나, 1930년대 초부터 일본으로 수출되면서 귀한 음식이 되었다. 한국의 명란 원품은 북해도산 명란보다 품질이 좋았으나 가공이 부족하여 싼 가격으로 수출되었다. 
    • 테마 : >
    • 이야기주제 : >
    • 관련문화원 :